2024-10-18 17:19:37 조회수 - 21
장애인 개인예산제, 중도포기 사유의 50.4%가 활동지원시간 부족
공유
해당 영상을 저장 하였습니다.
최보윤 국민의힘 의원은 10월 7일 열린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현재 시범 운영 중인 장애인 개인예산제의 실효성 문제를 지적하며, 예산 확대 및 서비스 통합을 통한 적극적인 장애인 선택권 보장을 촉구했다.

‘장애인 개인예산제’는 국정과제와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을 통해 윤석열 정부에서 처음 도입된 제도로, 획일적인 서비스에서 벗어나 장애인이 주어진 예산 범위 내에서 스스로 필요한 서비스를 직접 선택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복지서비스다 . 현재 8개 시군구에서 212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현행 시범사업은 장애인활동지원 급여의 최대 20%를 차감해 개인예산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현장의 비판이 끊이질 않고 있다. 기존 장애인활동지원 시간 자체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이를 차감해 개인예산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은 ‘아랫돌 빼서 윗돌을 괴는 것’과 같은 행태라는 지적이다 .

실제로 2026년 개인예산제 본 사업 시행을 위한 모의적용(2023년)과 시범사업(2024년) 신청자들 중 상당수가 활동지원시간 부족을 이유로 사업 참여를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적용과 시범사업 전체 중도포기 지원자 117명 중 활동지원시간 부족이 원인이 된 경우는 총 59명으로 50.4% 절반에 달한다.

최보윤 의원은 개인예산제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인예산제 자체 예산의 총량을 늘리는 신규 급여 편성과 다른 예산을 개인예산으로 합산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두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로, 현재와 같이 기존 서비스를 축소하는 방식으로는 장애인의 실질적인 선택권 보장이 어렵다고 강조했다. 장애인들이 개인예산제를 위해 일상생활의 필수적인 도움인 활동지원급여를 포기할 수 없고, 현행 서비스에 더해 플러스알파가 되는 신규 급여 편성이 필요하다는 것.

두 번째로, 각 부처의 벽을 허물어 개인예산으로 합산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독일의 '포괄개인예산제' 사례를 언급하며 건강보험, 근로지원, 여가활동 지원 등 각 부처 다양한 영역의 서비스를 통합해 장애인의 실제 욕구에 맞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맞춤형 지원을 해야한다는 것.

독일의 경우 지체장애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32세 여성 장애인은 6개 급여 중 통합고용지원청으로부터 직업재활지원(근로지원인 서비스) 716유로와 지자체 사회복지과의 서비스(여가활동 지원) 200유로 2개에 개인예산제를 적용해 포괄개인예산으로 월 916유로를 지원받는다.

최보윤 의원은 "장애인 개인예산제는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이지만 현재의 방식으로는 그 취지를 살리기 어렵다.” 면서, "신규 급여 편성과 각 부처 다양한 서비스 통합 운영을 통해 장애인의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규홍 복지부장관은 “개인예산제를 도입하게 된 게 장애인 선택권 확대 측면으로 활동지원 급여가 부족한 것은 그거대로 예산을 늘려야 한다”면서 “선택권 확대를 위해 복지부에서 할 수 있는 바우처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바우처 변경모델을 우선 추진하고 시범사업이 2025년까지인데 이후에는 타부처, 즉 문체부 교육부 사업도 합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이어 “이렇게 하려면 재정에 예외를 둬야 되기 때문에 법적인 근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신규 급여 편성, 부처별 장벽 제거 방안이 어떻게 추진될 수 있을지 시범사업에서 잘 검토해서 본사업에서는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최상단으로 이동